<aside> 💡

CTMC의 경우, **극한 분포(steady-state, limiting distribution)**의 존재와 유일성은 aperiodicity무관하다.

</aside>

<aside> 💡

Irreducible하고 positive recurrent하다면, 모든 시작 상태 i에 대해 Pj = limₜ→∞ Pij(t)의 극한이 존재하고, i에 무관하게 유일한 stationary distribution π가 존재한다.

</aside>


논리적 설명

1. DTMC와 CTMC의 구조적 차이

2. 수식적 직관

3. 수렴 메커니즘의 차이


결론

CTMC는 aperiodicity를 가정하지 않아도 irreducible + positive recurrent이면 limiting distribution이 항상 존재한다.

이유는, 연속 시간에서는 임의의 시점에 상태 변화가 일어나므로, 주기성으로 인한 진동 현상이 구조적으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.

따라서 steady-state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irreducibilitypositive recurrence만을 체크하면 된다.